블로그

블로그/사진 및 여행

경산, 대구 별구경하기 좋은곳

추석에 고향을 간김에 달(별)구경이나 하러갔다. 별구경하러 간다고하니 온가족이 다 같이가자고 해서 차 2대로 출발.. 원래 알던곳은 아니고, 검색해보니 블로그 몇개에 뜨길래 거리도 가깝고 해서 바로 출발. 여기도 다른 별구경하기 좋은장소들 처럼 주위에 가로등도 별로없다. 추석인 만큼 보름달도 잘 보인다. 정말 오랜만에 가족들이랑 다같이 드라이브하고 오니 기분이 개운하다. 네비 찍고 갈때 : 대구 달성군 가창면 주리산 96-4 길이 매우 구불구불하니 너무 과속하지 말고 천천히 올라가고 내려오자. 그리고 이 위치 자체는 비상용(?) 헬기장 위치니까 헬기장 정문에 차를 주차하지는 말자.

블로그/글쓰기 연습

정신건강의 기준점

예전에 데일 카네기의 자기관리론에서 본 내용중에 그런 내용이 있다. '네가 해결할 수 없는일을 고민하지 마라.' 물론 책에서는 이렇게 짧게 말하지는 않았지만, 그 내용은 자기관리론의 그 무엇보다 나에게 와닿았다. 왜냐하면 저 말이 내 멘탈(정신)의 기준이기 때문이다. 내 주변의 사람들은 내가 주변사람에게 관심이 없고, 그 때문에 외로움도 안타며, 왠만한 일에는 감정의 변화가 없다고 한다. 그 이유가 바로 저 한 문장이다. 나는 내가 해결할 수 없는일을 고민하지 않는다. 잠깐 생각이 들다가도 '그건 내가 어쩔수 있는게 아니잖아?'라는 생각이 들면 가차없이 그 생각은 머릿속에서 사라진다. 예전에 멀리 출장 가 있을때, 어머니가 뇌졸증으로 병원에 입원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조차 나는 다음 순서로 생각이 들었다..

블로그/글쓰기 연습

퇴사 현재의 기록

나는 지방의 중소 SI업체에서 일 하고 있는 올해(2022년) 8년차의 SI 개발자다. 내가 ‘개발’하고 있는이 아닌 ‘일’하고 있는 이라고 말하는 이유는 지금 내가하고 있는일은 ‘개발’이 아닌 ‘일’이기 때문이다. 어디서부터 잘못된 길을 간 것일까. 병역특례를 위해 집과 가까운곳의 SI업체에 취업한 순간부터 잘못된 선택인걸까? 그 당시엔 IT업계가 세분화되어 있고, 그 중에 SI는 개발자로써 좋지않은 선택이라는 것을 몰랐다. 그저 프로그램을 만든다는 것이 재미있었으니까.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실제 업무에 사용한다는 것은 재미있는 일이었다. 처음 1년간은.. 새로운 것도 배우고, 잘 이해가지 않았던 지식이 실전에 써먹어보니 왜 이렇게 만들어진건지 이해가 갈때는 희열을 느낄 정도였다. 나는 그것이 무엇이든..

블로그/사진 및 여행

강릉 안반데기 멍에전망대에서 별구경하기

주말 오후 6시 쯤 침대에서 뒹굴다가 창밖을 보니 맑은 하늘이 보였다. 문득 별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예전에 정리해둔 별 잘보이는 명소 리스트에서 제일 가보고싶은 곳을 골랐다. 강릉 안반데기 멍에전망대! 인터넷에 사진도 많고 카메라 카페에도 추천 명소로 많이 올라와있었다. 가면서 실시간 구름정보도 보면서 찾아봤다. 가기전에 미리 날씨를 확인하고 가자. 구름으로 가릴까봐 조마조마했다. 카메라 있는분은 꼭 카메라 가져가서 장노출(30초)로 사진을 찍어보자. 구름없는곳만 찍으면 잘 찍힌다. 다만 너무 어두워서 인물사진은 찍기 힘들다.

블로그/글쓰기 연습

요즘 중소기업에서 중급 개발자가 없는 이유에 대한 끄적임

이 글은 그냥 개인적인 의견을 끄적여 본 글이다. 혹시나 다른 의견이나 추가 의견이 있다면 댓글 달아주면 좋겠다. 나는 나와는 다른 시점에서 생각하는 사람의 의견을 듣는 것이 좋다. (오.. 이렇게도 생각할 수 있구나 하는 것 말이다) 이 생각의 처음 시작은 '나는 어디로 이직하지?'였고, 이 생각은 '왜 이직하려고 하지?'로 이어졌으며, '왜 직원들이 2~3년만 채우면 퇴사할까?'에 이르렀다. 그래서 내가 왜 지금 회사를 그만두고 싶어하는지 생각해 봤다.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이것은 회사의 비전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물론, 회사의 비전이 좋다면 개인의 비전 또한 좋아질 수도 있다. 지금 내 상황을 예로 들자면.. 1) 회사에서는 매우 오래된 개발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이제 다른 데서는 이 프레임워크..

블로그/글쓰기 연습

첫 바이크. 슈퍼커브 예상 비용 계산

요즘 유가가 미쳐 날뛰고 있어서 자동차 말고 다른 이동수단을 생각중이다. 그 와중에 눈에 띈것이 바로 슈퍼커브 110cc. 연비가 매우 좋고, 내구성이 좋아서 유지비가 거의 안든다고 한다. 거기다.. 내가 보통 가성비만 따지지 외형은 거의 보지 않지만, 그나마 덜 '배달용' 같다. 그래서 이것저것 찾아보면서 자동차 대비 경제성은 어떤지 정리해 봤다. 초기비용 1) 2022년식 슈퍼커브 110 : 2,520,000 원 2) 취득세 : 51,000 원 3) 번호판 등록비 : 3,000 원 4) 보험료 : DB손해보험(대인무한, 대물 1억) 44만원 (보험료는 당연히 개인마다 다르다. 특히 나이가 중요하다고 한다) 5) 헬멧 : 20만원 내외 대략적으로 330만원 내외 이후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고정 비용 1)..

최봉구
'블로그' 카테고리의 글 목록